본문 바로가기
시가 있는 이야기

바람 나뭇잎

by 제주물빛 2011. 10. 6.

 

 

 

(  논고악 분화구에서 ......  )

 


바람 나뭇잎  

 

 

  고형렬(1954~ )



나 오랜 옛날에 나무인 적 있었다


다른 세상의 햇살이 지나가고


치맛자락을 흔들어대는 바람이 불던 날


나 그때 나무였던 것이 분명하다


이제야 그 아련한 추억들이 수런인다


우주 낯선 강 멀리 키는 하늘에 닿아


수도 없이 돋아나오는 나뭇잎들이 되면서


나는 비로소 아주 먼 그 옛날 내가


귀여운 애기잎사귀들을 흔들어주면서


바람으로 돌아오는 나를 보았었다, 그때


나무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


이제서야 아련한 추억들이 살아난다


파란 바람아 불어오니라 불어가니라


알려고 하는 자에게만 비밀을 일러주고


저 나뭇가지들을 흔들어주어라


나 옛날에 바람이었던 때가 즐거웠다


그때가 아름다운 때였음을 알게 되었다.
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북유럽 신화에서 최고의 신 오딘은 하늘을 떠받치고 선 거대한 물푸레나무의 가지를 꺾어 남자를 빚었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  여자는 곁의 느릅나무로였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신화 속 최초의 남자와 여자는 이른 아침에 장미 꽃잎 위에 피어 오르는 찬연한 이슬 방울을 양식으로 살았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     나무를 닮아 평화롭고 아름다운 삶이었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   지금 세상살이에 흔들릴 때마다 바람에 나부끼는 나뭇잎을 바라보게 되는 건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      필경 사람의 유전자에 나무의 흔적이 담긴 때문이리라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 ‘나무처럼 살고 싶어지는 것’도 사람이 언젠가 나무였던 까닭임이 틀림없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  <고규홍·나무 칼럼니스트>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에서 -

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물푸레나무의 가지를 꺾어 남자를 빚고,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느릅나무로 여자를 만들었다고 하네요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 남자와 여자는 이른 아침 장미 꽃잎 위에 피어 오르는 이슬을 양식으로 삼았다니,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 신화는 신화네요.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시도 좋지만,, 칼럼니스트의 해설이 더 좋은것 같습니다.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'시가 있는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민지의 꽃  (0) 2011.10.14
꿈꾸는 가을노래  (0) 2011.10.11
달개비  (0) 2011.09.27
서가(序歌)   (0) 2011.09.21
갈대  (0) 2011.09.20